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2

근로자 건강진단 종류와 시행 기준 1. 근로자 건강진단이란? 근로자 건강진단은 산업안전보건법과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기준을 근거로,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반 질병이나 직업병 요관찰자, 유소견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시행하는 의학적 선별검사입니다. 건강진단을 통해 질병 또는 직업성 질환을 초기에 찾아내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때문에 사업주에게 근로자에 대한 건강진단 실시 의무를 부과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건강관리 기초 자료로 사용, 특정 직업에 종사하기에 적합한 정신적, 신체적 상태 파악 이후 적절한 작업 배치, 일반 질환과 직업성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조치, 질병이나 건강장해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을 보유한 근로자를 발견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합니다. 건강진단기관과 사업주는 건강진단관련 서류를.. 2022. 5. 18.
위험성평가 종류와 시행방법 1. 위험성평가는? 기업들은 규모와 상관 없이 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 위험성평가를 시행해야 합니다. 사업장의 유해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결정해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유해/위험요인이란 "유해/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뜻합니다. ex)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부상/질병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모든 것, 가스, 증기, 분진,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강력한 정부주도로 산업정책을 지속해 왔고,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돼 운영해 왔으며 산업재해율이 감소됐습니다. 1997년 재해감소율이 둔화됐는데, 그 이유는 기존 제도와 체제가 시대에 맞춰 개편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ex) 기존 위험성평가 관련 제도 - 유해위험방지.. 2022.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