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량기업 소개/바이오 & 의료41

엔젠바이오의 NGS 기반 유전자 패널과 정밀진단 기술 [ 툴젠 국내 유일 유전자가위 기술 보유 기업 ] https://1wndlf.tistory.com/431 국내 최고의 NGS 분석기술 1. 엔젠바이오는? NGeneBio 엔젠바이오는 2015년 젠큐릭스와 KT의 합작법인으로 설립돼 NGS 기반 유전자 패널 및 유전체 분야 진단 시약과 SW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기업이다. 특히 엔젠바이오의 정밀진단 기술의 핵심인 NGS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은 국내 최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보편적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상용화했고, 식약처로부터 NGS 정밀진단 제품의 품목허가 획득, 고효율, 고성능 정밀진단 패널이라는 핵심 기술 개발과 확장으로 정밀진단 영역 내에서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분자진단 기술 기반 예후진단.. 2021. 6. 22.
뷰노 의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개발 전문 기업 VUNO [ 제이엘케이 의료 인공지능 서비스 기업 선두주자 ] https://1wndlf.tistory.com/139 1. 뷰노는? 뷰노는 2014년 12월 10일 삼성종합기술원 출신 연구원들이 설립한 의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이다. 뷰노는 의료 데이터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시켜 의료진이 진단을 하는데 보조 역할을 해 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정확도는 높이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뷰노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딥러닝 엔진 VUNO net을 통해 엑스레이, CT, MRI, 음성정보, 생체신호 등 여러 정보를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현재는 8개 제품이 국내에서 출시가 허가됐고, 5개 제품이 유럽에서 CE 인증을 획득했다 ( Conformite Europeen Marking EU 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하.. 2021. 6. 14.
셀리드 코로나19 치료제보다도 항암면역치료 Celivax가 있다. 암 개척의 새로운 패러다임 [ 셀리버리 파이프라인의 모든 것 ] https://1wndlf.tistory.com/162 1. 셀리드는? 약 1년 6개월 전 ~ 2년 전 쯤 저는 셀리버리, 아버지는 셀리드에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제 권유로 아버지는 셀리드 투자금 중 일부를 셀리버리에 분산 투자하셨고, 두 기업 덕분에 수익을 얻으셨지만 2021년 06월 09일 종가 기준으로 보면 아쉬움이 남는 제안으로 남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코로나19와 함께 화제로 떠오른 셀리드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2006년 서울대학교 학내 바이오벤쳐로 설립돼 2019년 2월 20일 코스닥에 상장했다. 셀리드 강창율 대표는 1981년 서울대에서 약학 학사와 석사,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캠퍼스 State Universit.. 2021. 6. 10.
인트론바이오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박테레오파지 원천기술 보유. [ 프로테옴텍 체외진단키트 기술과 제품 ] https://1wndlf.tistory.com/392 인트론바이오 항생제의 미래 1. 인트론바이오는? 인트론바이오는 박테리오파지 ( Bacteriophage ) 원천기술을 토대로 동물용 항생제 대체재를 생산한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뜻하는 'Bacteria'와 '먹는다'를 의미하는 'Phage'를 합친 합성어로, '세균을 먹는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유전자시약과 분자진단 판매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2002년부터 박테리오파지 연구를 시작했고,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 단계에 진입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이후 동물사료 내 항생제 첨가를 금지하면서부터 매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해외에서도 항생제 배합 금지 추세가 확산되고.. 2021. 4. 26.
백신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향후 전망 [ 대한민국 백신 주권의 선두주자 sk바이오사이언스와 고 박만훈 ] https://1wndlf.tistory.com/522 1. 2010년 대 초중반 백신은 주로 치료가 아닌 예방을 목적으로 처방하기 때문에 일반 / 전문의약품에 비해 공공재 성격도 강하고, 개발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사업적으로 불리한 측면을 갖고 있었다. 2017년 등장해 현재는 블록버스터로 성장한 GSK의 대상포진백신 '싱그릭스 Shingrix'는 2010년 08월 약 3만 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을 시작했는데 미국 허가까지 약 7년이나 걸렸다. 지금은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로 자리매김한 BMS의 '옵디보 Opdivo'도 임상 3상 개시 시점부터 FDA 허가까지 2년이 소요됐다. 이것도 시급한 치료를 요구하는 항암제라는 특성 덕에 Fa.. 2021. 3. 11.
sk바이오사이언스와 sk바이오팜의 다른 점 그리고 미래 sk바이오팜 본사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1 ( 삼평동 672 ) 1. 태동기 : 분사 전의 SK케미칼 SK케미칼은 2017년 12월 01일 SK디스커버리가 영위하는 사업 중 Green Chemicals ( GC 사업부 )와 Life Science ( LC 사업부 ) 사업 부문을 분할해 설립되었다. 사업 매출 비중은 각각 67% / 33%로 구성되어 있었다. SK케미칼은 이미 2009년부터 세계 최대 혈액제제 회사이자 호주 10대 기업 ( 5위 ) 중 하나인 바이오 기업 CSL에 장기 지속성 혈우병 A 치료제 앱스틸라 ( Afstyla ) 기술을 수출했다. 때문에 CSL은 2017년 말부터 자체 혈우병 치료제 헬릭세이트 ( Helixate ) 생산을 중단함과 동시에 앱스틸라로 대체할 계획을 발표.. 2021.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