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툴젠 국내 유일
유전자가위 기술 보유 기업 ]
https://1wndlf.tistory.com/431
국내 최고의 NGS 분석기술
1. 엔젠바이오는?
NGeneBio 엔젠바이오는
2015년 젠큐릭스와 KT의
합작법인으로 설립돼
NGS 기반 유전자 패널 및
유전체 분야 진단 시약과
SW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기업이다.
특히 엔젠바이오의
정밀진단 기술의 핵심인
NGS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은
국내 최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보편적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상용화했고,
식약처로부터 NGS
정밀진단 제품의 품목허가 획득,
고효율, 고성능 정밀진단 패널이라는
핵심 기술 개발과 확장으로
정밀진단 영역 내에서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분자진단 기술 기반
예후진단 / 동반진단 / 조기진단
전문 기업 젠큐릭스와
KT가 최대주주이면서 특수관계인
2대 주주이며,
지분율은 젠큐릭스 12.3%,
KT 12.2%이다.
2020년 12월 10일
코스닥에 상장해 공모자금은
항암제 동반진단 /
AI기반 정밀의료 플랫폼과
액체 생검 제품 연구개발 /
GMP 생산실 및
NGS 분석 장비 시설 투자 /
해외 시장 개척에 사용하고 있다.
2. 제품/상품
엔젠바이오의 주력 제품은
NGS 검사를 바탕으로 암이나
희귀질환과 관련된 개인별
유전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밀진단 패널이며,
그 중에서도
- BRCAaccuTest
유방암, 난소암에 연관된
BRCA1&2 유전자 검사 /
- HEMEaccuTest
혈액암 관련 유전자 변이 검사 /
- SSOLIDaccuTest
위암, 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 관련 100여 개 유전자 검사 /
- ONCOaccuPanel
위암, 폐암, 대장암 등
300여 개 유전자 검사 /
- HLAaccuTest
골수이식 적합성 검사
- HEREDaccuTest
유전성 희귀질환
- IDaccuTest
친자확인, 범죄 과학 수사
- 지노리듬 ( 플러스 )
일반인 건강관리 등의
NGS를 기반으로한
정밀진단 제품군이다.
2021년 5월 10일 최근에는
골수이식 적합성 검사용 패널
HLAaccuTest의 식약처 허가를 받았고,
패널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리포트화하는
자체 소프트웨어 NGeneAnalySys가
있어 자연히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NGS'란
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으로,
백만 개 이상의 DNA 조각을
병렬로 처리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나의 유전체를 조각으로 분해해
각 조각을 동시에 읽어내고,
그렇게 해서 얻은 데이터를
생물 정보학적 기법으로 조합해
유전체 정보를 빠르게 해독하는 개념이다.
NGS 개념 자체는 1992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영국 생물학자이자 유전학자이며
생체기관의 발생과 세포 사멸의
유전학적 조절에 대한 발견으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Sydney Brenner 시드니 브레너가 제시했지만,
당시에는 기술의 한계로
2004년이 되서야 상용화될 수 있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다채로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플랫폼이 등장해
염기서열 분석 비용이 많이 하락했고,
30억 쌍의 염기로 이뤄진
인간 유전자 전체를 분석하는 시간이
15년에서 3일로,
비용은 30억 달러에서 2017년에는
1,000달러까지 줄었으며,
무엇보다 우리는 NGS
유전자 패널 검사로 환자에게 맞는
항암제를 한 번에 찾아낼 수 있다.
[ 알테오젠 바이오베타 기업의 선두주자 ]
3. 성장모멘텀
엔젠바이오는 고형암, 혈액암,
유방암/난소암 등 정밀진단 제품의
매출 성장과 유전자검사
서비스 매출의 본격화가 2021년부터
가시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오인포메틱스 분야에서는
필수 요소로 꼽히는
BT ( Bio Technology, 젠큐릭스 )와
IT ( Information Technology, KT )가
융합한 기술력이 엔젠바이오의
최대 장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정밀진단 패널을
동반진단 ( 유전형에 따라 특정
치료제에 효과를 보이는 환자 선별 )에
활용하고자 국내외 제약사들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국적 제약사 중
한 곳과 유방암 표적치료제 신약의
동반진단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동반진단 제품의
허가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라
제도가 정돈된 이후에 다음 단계로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하는
소비자 대상 직접 유전자검사 ( DTC )
허용 기관에 선정돼 47개 항목의
DTC 서비스를 B2B 위주로 제공하고 있다
Direct To Consumer.
그리고 세라젬과 KT와 제휴해
DTC 서비스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실험실 표준인증 연구실
CLIA랩 인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4. 촌평
2021년 4월 12일
자회사 진메디카와 합병해
혈액암 조기진단제품의 연내 상용화와
세라젬 DTC 서비스 공급이
좋은 효과를 보여 추가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엔젠바이오의 국내 고객사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서울 / 경기권 의료기관 :
아산병원, 강남성모병원,
서울대병원 ( 본원 ), 삼광의료재단,
부천순천향병원, 평촌성심병원,
강동섬싱병원, 가천길병원,
은평성모병원
- 대전 / 충청권 의료기관 :
충남대병원
- 대구 / 경북권 의료기관 :
칠곡경북대병원
- 광주 / 전남권 의료기관 :
화순전남대병원
- 부산 / 경남권 의료기관 :
양산부산대병원, 해운대백병원
- 제주 의료기관 :
제주한라병원
2021년 6월 21일 종가 기준 19,850원
[ GC녹십자 역사와 제품 및
GC녹십자 계열사 소개 ]
'우량기업 소개 > 바이오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앤알바이오팹 3D바이오프린팅 시스템 (0) | 2021.07.09 |
---|---|
한국비엔씨 대만 FDA 코로나 치료목적 사용 긴급승인 안트로퀴노놀 (0) | 2021.07.06 |
뷰노 의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개발 전문 기업 VUNO (0) | 2021.06.14 |
셀리드 코로나19 치료제보다도 항암면역치료 Celivax가 있다. (0) | 2021.06.10 |
인트론바이오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박테레오파지 원천기술 보유. (0) | 2021.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