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리원 스토리/의약품 백과사전

코로나19 백신 종류와 간략한 설명

by ghdzbql 2021. 3. 28.
반응형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OVID-19_vaccines_(2021)_D.jpg

[ 인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백신 효과 ]

https://1wndlf.tistory.com/318

 

 

 

1.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straZeneca_COVID-19_Vaccine_(cropped).jpg

- 플랫폼 : 바이러스벡터 백신

 

- 개발국 : 영국

 

- 수량 : 2,000만 회분

 

- 접종 : 1,000만 명

 

- 접종 횟수 : 2회

 

- 접종 간격 : 28일

 

- 희석 : 불필요

 

- 유통 : sk바이오사이언스

 

- 보관 조건 : 2 ~ 8℃ ( 6개월 )

 

- 국외 승인 현황 :

영국 / 인도 / 모로코 / 브라질 / 멕시코 /

도미니카공화국 / 아르헨티나 / 엘살바도르 등

 

2. 얀센 Janssen

  존슨앤드존슨 Johnson & Johnson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south-korea-expands-vaccination-with-jjs-covid-19-shot-offered-by-us-2021-06-01/

- 플랫폼 : 바이러스벡터 백신

 

- 개발국 : 미국

 

- 수량 : 600만 회분

 

- 접종 : 600만 명

 

- 접종 횟수 :

 1회.임상 결과에 따라 변경 가능성 有

 

- 희석 : 불필요

 

- 유통 : sk바이오사이언스

 

- 보관조건 :

20℃ ( 24개월 ) 또는 2~ 8℃ ( 3개월 )

 

- 국외 승인 현황 :

미국 / 영국 / 유럽 등 사전 검토 중.

 

3. 화이자 Pfizer

https://www.flickr.com/photos/30478819@N08/50714715172

- 플랫폼 : mRNA 백신

 

- 개발국 : 미국, 독일

 

- 수량 : 2,000만 회분

 

- 접종 : 1,000만 명

 

- 접종 횟수 : 2회

 

- 접종 간격 : 21일

 

- 희석 : 필요

 

- 유통 : sk바이오사이언스 또는 직접 배송

 

- 보관조건 

  -75℃ ±15℃ ( 6개월 ) 또는

2 ~ 8℃ ( 5일 )

 

- 국외 승인 현황 :

EU / WHO / 영국 / 미국 / 캐나다 /

바레인 / 이스라엘 / 카타르 등

 

4. 모더나 Moderna

https://www.flickr.com/photos/91261194@N06/50770417891

- 플랫폼 : mRNA 백신

 

- 개발국 : 미국

 

- 수량 : 4,000만 회분

 

- 접종 : 2,000만 명

 

- 접종 횟수 : 2회

 

- 접종 간격 : 28일

 

- 희석 : 불필요

 

- 유통 : 미정

 

- 보관 조건 :

20℃ ( 6개월 ) 또는 2 ~ 8℃ ( 30일 )

 

- 국외 승인 현황 :

미국 / 캐나다 / EU / 이스라엘 / 스위스 등

 

[ 임산부 코로나19 백신 접종 가이드라인 ]

https://1wndlf.tistory.com/533

 

 

 

* 추가적인 간단 부연 설명

(1) 바이러스 벡터 Viral Vector :

  바이러스 벡터는 DNA나 RNA 같은

유전물질을 세포나 생체에 주입하고자

바이러스를 이용해 개발된 운반체입니다.

 

  1970년대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의

생화학자 폴 버그 ( Paul Berg )는

SV40 바이러스     

        ( 원숭이 바이러스 40의 약어.

                        암을 유발한다. )

DNA를 변형해 박테이오파지

λ DNA의 일부를 집어넣은 후,

 

  배양 중인 원숭이 신장 세포에

주입해 최초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외부 DNA를 주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이 방법은 유전자 발현에

많이 사용됐지만,

최근에는 유전자 치료와

백신 개발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 2 ) mRNA Vaccine :

  mRNA는 핵 안에 있는

유전 정보를 세포질 내

리보솜에 전달하는 RNA입니다.

 

  DNA에 저장된 유전 정보가

단백질 형태로 발현되기 위해

꼭 필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전부터 백신 개발이나

단백질 대체 치료제 분야에서

미래 치료 플랫폼으로 각광 받았는데,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mRNA 백신이 개발되어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 단백질을 체내에

직접 주입하는 기존 백신들과 달리,

 

  신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생성 방법을 세포에 교육해

특정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때 이에 대한

항체를 만들도록 유도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바이러스가 체내에

 주입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백신에 비해

 안전하다고 평가되며,

 

   백신을 만들 때 바이러스 항원

 배양 시간이 들지 않아 쉽고 시간 또한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제조된

백신이기에 접종 후 생성된 항체의

지속 기간이나 안전성 면에서

오랜기간 축적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3) 백신 접종 정부 계획

  국내에서는 2월부터 순차적으로

접종을 시작해 3분기까지

일반 국민들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고,

 

  11월에 집단 면역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민 대다수가 거주지를

기준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전국 250개 접종센터와 약 10,000개의

지정 민간 위탁 의료기관에서

접종이 가능합니다.

 

  요양시설 등 집단생활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분들께는

'찾아가는 예방접종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저온 유통이 가능한

콜드체인 Cold Chain

( 저온상태로의 보관 /

             운송 시스템 )을 유지하고,

 

  철저한 교육을 통한 충분한 접종 인력과

접종 기관을 확보해 포괄적인 이상반응

관리체계 구축과 피해보상제도 운영으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한다는 것이

정부 방침입니다.

 

[ 집단면역의 중요성과 원리 ]

https://1wndlf.tistory.com/54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