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신 접종 이상반응 소개 ]
https://1wndlf.tistory.com/260
1. 미국 혈액전문가들의
혈전 유발에 대한 의견
미국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맞은 후 매우 드물게 혈전이
발생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 후
혈전을 비롯한 각종 부작용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감은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미국 혈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가
혈전 유발 확률을 매우 높이는
질환이라는 점에 더 주목했습니다.
즉, 이들은 백신으로 코로나19를
예방하면 혈전이 발생할 가능성도
그만큼 감소한다고 주장합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미국에서는 발현 가능성이 적은
혈전 이슈로 백신 접종 자체를
회피하는 모습에 갸우뚱한
제스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미국 뉴욕
파인스타인 의학연구소
Feinstein Institutes for Medical Research
알렉스 스피로풀로스
( Alex Spyropoulos )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25년 동안 일을 하면서
코로나19만큼 혈전을 많이 일으키는
질병은 처음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코로나19 때문에
입원할 확률은 1%이고,
그 중에서도 혈전이 발발할 가능성은
20% 안팎이며,
백신 접종으로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특이 혈전 발생 빈도는 1/1,000,000이기에
백신 접종으로 인한 위험보다
이익이 더 크다." 라고 확신했습니다.
더불어 미국혈액학회 ASH
(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
회원이자 캐나다 맥매스터대
( McMaster University )의
마크 크라우더 의대 교수도,
"Corona19 Virus 백신이
코로나19에 의한 혈전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라고 힘을 보탰습니다.
[ 백신의 종류와 역할 포스팅 링크 ]
https://1wndlf.tistory.com/257
2. 100만 명 중 1명?
혈전 부작용으로 극단적인 경우
생명을 잃을 수 있음에도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 중단과
시행을 반복하는 이유는 존재합니다.
실제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와
식품의약국 FDA는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혈전증이 나타난 사례 6건을
검토하고 있어 잠정적으로 백신 접종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얀센 백신 700만 도스가 접종됐는데,
이 숫자에 비하면 혈전 사례가
극히 드물었고,
한창 논란 중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영국에서는 이미 2,060만 명이
최소 한 차례씩 접종받았지만,
총 99건의 혈소판 감소
( Thrombocytopenia )를 동반한
특이 혈전 케이스 중 22명이 사망해
20만 건 당 1건의 혈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만약 백신을 거부하고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체내에 혈전이
생성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호흡기학 저널 영국흉부학회
( British Thoracic Society )의
'흉부 Thorax'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중
폐색전증과 심부정맥혈전증 발병률이
각각 7.8% / 11.2%로 집계됐습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EU 내에서는 코로나19가 나타나기 전부터
매달 1만 명의 혈전 환자들이 나타났고,
특히나 영국에서는 매달 3천 명이
혈전 증상을 호소했습니다.
평시 뇌정맥동혈전증 CVST
(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
발생 위험은 100만 명 당 5명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백신 접종 후 CVST가
나타난 것보다 더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국민들이 공포감을
지울 수 없는 이유는...
예상보다 빠른 백신 개발로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해 백신 접종이
혈전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EU 규제 당국도
혈전이 백신의 부작용일 수도 있지만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했습니다.
[ 집단면역의 중요성과 원리 ]
'온리원 스토리 > 의약품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복합제 아토젯 제네릭 출시 제약사들과 약가 (5) | 2021.05.02 |
---|---|
당뇨환자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및 관리 (0) | 2021.04.29 |
식약처 종근당 리피로우 등 7개 품목 제조 판매 중지 조치 (0) | 2021.04.21 |
큐시미아 식욕억제제 비만치료제 여름철 다이어트약? Qsymia (8) | 2021.04.18 |
치매 치료제 아리셉트 혈관성 치매 적응증 삭제 리마인드 Aricept (2) | 2021.04.15 |
댓글